커뮤니티

홈페이지 최상단으로
50대 이두건염 스포츠 재활 및 강화를 위한 방법
내몸에미소 2025-02-10

ekscjs2@naver.com

471088177140e42a014efcd54e5f34ea_1739157680_9641.jpg 

안녕하세요 내몸에 미소입니다.

오늘은 상완 이두건염 및 코어강화를 위해 센터에 등록하신 회원님입니다.


이두건염 이란?


먼저 이두근이 무엇인지 알아야겠죠?

상완 이두근은 상완 앞쪽에 위치하며 장두와 단두 2개가 있습니다.

장두는 견갑골의 상완골 돌기에서, 단두는 견갑골의 견갑돌기에서 시작해서 요골결절에 붙어 어깨 굽힘, 팔꿈치 굽힘, 전완부 외회전 기능을 합니다.


이두건염은 이두근을 연결하는 힘줄, 장두와 단두에 발생하는 염증으로(주로 장두에 생김), 팔의 움직임 패턴과 관련이 있습니다.


1. 반복적으로 팔을 머리 위로 올리거나 무거운 물건을 들어올리는 등 갑자기 심한 스트레스가 가해질 경우

2. 어깨가 불안정하거나 회전근개가 찢어지면 이두근 힘줄이 이 부분을 안정화하는 보상 작용으로 인해.

3. 관절, 근육 경직 & 약화


환자의 통증은 주로 상완골(어개 부위)의 결절간 홈에 집중되며, 당기고, 밀고, 머리위로 들어올릴때 심해집니다.

주로 35세 이상의 전문 운동선수나 40세이상의 중장년층에게 흔히 나타납니다.


이두건염 발생시 어떻게 운동 해야 할까?


471088177140e42a014efcd54e5f34ea_1739157813_1291.jpg


단계에 따라 달라집니다.

급성기에는 휴식을 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상지를 벌리거나 들어올리는 것은 피해야 합니다.

이후에는 어깨 관절 평가와 기능 장애 상태에 따라 재활 운동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1. 어깨 가동성 훈련: 어깨 관절 가동성을 개선하고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환자는 통증이 없는 범위 내에서 연습할 수 있습니다.

2. 근력 운동: 견갑 주위, 이두근(특히 편심 수축 능력) 근력 및 어깨 관절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한 저항 운동 수행

3. 스트래칭: 이두근 근육의 긴장을 개선하고, 염증 부위의 유착을 완화하며, 통증 개선.

4. 팔꿈치 굽힘 동작 최적화.


이 글에서는 중기~ 후기 재활을 위한 스트레칭 2가지를 알려드리겠습니다.


1. 똑바로 서서 앞을 바라보고, 발은 어깨 너비, 팔은 옆으로 들고 안쪽으로 90도 회전, 손바닥은 뒤로 향하게 합니다. 몸통과 다리는 같은 자세를 유지한채, 팔은 수평으로 되로 최대한 뻗습니다. 30초 동안 이 자세를 유지하세요.


2. 똑바로 서서 손가락 관절이 아래로 향하게 하여 막대기나 수건을 등 뒤에 놓고 잡으세요. 팔이 늘어나는 느낌이 들때까지 두 손으로 막대기를 천천히 들어 올리세요. 30초간 이 자세를 유지한 후 팔을 살짝 놓으세요.

하루에 2세트씩, 연속으로 2회 반복하여 총 4회 반복합니다.

471088177140e42a014efcd54e5f34ea_1739157838_2791.png 


471088177140e42a014efcd54e5f34ea_1739157868_267.jpg


회원님은 밸리댄스를 하셨는데 코어힘이 많이 부족하여 동작이 잘 안나왔다고 하셨습니다.

그리고 엉덩이힘도 제대로 쓰지 못하셨구요

갱년기까지 겹쳐서 힘든 시간을 보내셨다고 합니다.

우리 회원님 이 시기를 잘 극복하시면서 열심히 운동하시는 모습에 박수를 쳐 드립니다.^^

건강하고 튼튼한 몸이 될 수 있도록 서포트 마니마니 해드리겠습니다~~!!



0건의 글이 있습니다.
닫기
로그인하셔야 본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